close
Koreans on the Street: Dane’s Mexican Grill, Ilsan

Koreans on the Street: Dane’s Mexican Grill, Ilsan

By Kevin Kudic

The whole enchilada

Fundraising for choroideromia at Dane's-Sept 2009.

“Centerpiece or centerfold,” Dane facetiously responds, uncharacteristically so in dealing with a book whose theme deals with the cross currents of Korean peninsular history during and after the war. We are enjoying a light-hearted moment talking about a possible cookbook spliced in between Dane’s political narrative. “The next chapter ends with a good picture of a yummy sushi. They’ll laugh at me, no one has ever done that before, because they’re so academic or political.” Dane is also privy to ambassadorial functions that have the best foods: French, Tunisian and Algerian (the couscous naturally). If you press him long enough he’ll also tell you one of his, “I was the first…” stories: the first heterosexual Asian to go to a gay bar in Detroit called Backstage in the early 80s and so on. It is hard to tell how much of his experience Dane has mythologized, but like all great storytellers we are captivated by the magnetic pull of a good yarn, even if some of it seems like the stuff of tall tales. But all ribaldry aside, we are talking about a book, a political diagnosis of one of the most troubled and complex geographical regions of modern history. The process has made Dane ebullient. A fellow teacher and friend has agreed to ghost write this memoiristic book on Korean political policy, and as the conversation bounces back and forth, Dane is confident that his work will be a touchstone for other writers to work upon and improve.

“I plan on juxtaposing a lot of thoughts of other political writers with my thoughts. There are a lot of foreign journalists that have worked for years in Seoul and have written books; some of them are not quite close to the truth. Some of the writing is done hastily, and some of them are good.”

Dane’s fragmented approach to storytelling might not be the most constructive approach to hammering down page after page of a dense book, but to give him credit it has not been easy.

“Running a Mexican restaurant is more difficult than writing a political essay. It’s something that I’ve never done before…I hope the writing goes well”

If it goes as well as the cooking has, then Dane should have no problem. The new menu is actually quite good and rivals some of the better known Mexican restaurants in Gangnam or Itaewon. I scarf down Dane’s delicious chimichanga washed down by a refreshing Bloody Mary, and continue the interview.

It is easy to forget that Dane, a proprietor and cook of a Mexican restaurant in Ilsan, was once involved in the contentious atmosphere of Korean politics.

“I don’t think there is anybody in Korea who after some kind of political career opens up a restaurant.”

He not only opened up the restaurant but cooks the food himself. The only help are young, fickle Korean college students that Dane seasonally employs, but most of the time he works solo. It is hard to imagine exactly what the restaurant means for Dane, whether it is some kind of weigh station for his next venture, or an extension of his eclectic personality, a kind of fortress of solitude, or all of the above. “I’m taking my time out for a while. I’m kinda experimenting a little bit. If you’re away from politics you’re forgotten, just one or two years, you’re forgotten.”

Dane’s political awakening was sparked by his younger years growing up in an era where democratic expression was muzzled by the authoritarian regime of Park Chung Hee during the 70s.

“If I counted the number of days during that time [that] I was always worried about how I would express myself or if I spoke out against the system, then I lived under a dictatorship. If I would have talked [badly] about Park Chung Hee, somebody would have arrested me.”

This blanket of paranoia enveloped Korea and would ultimately manifest itself into a syndrome of fear that has shaped Dane’s outlook on his life here and abroad. The reign of Park heralded the miracle growth of Korea that followed due to a policy of export-based growth, and it is generally credited with industrializing the country from its war torn ashes turning it into a virtual phoenix. Dane learned the ropes of business during those years and got the first taste of working for the “chaebols” (conglomerates) that would soon become entrenched in every aspect of the Korean economy.

“I graduated from Hanguk University and then I joined Samsung Company Headquarters. I was a promising young businessman. I went to the army and I found out that I didn’t want to work for a big business with innate problems of corruptions. I had a bigger vision-I quit my job and went to the states to study.”

It was during this time that Chun Doo Hwan took power by a military coup d’etat  in 1980 after the assassination of Park. The social dynamite that South Korea had become ignited with the Gwangju uprising of 1980. The crescendo of unrest in the city of Gwanju, located in the Jeolla province in the South, culminated with university students demonstrating out in the streets. Student groups were thoroughly quashed by the government and although there is no official fatality count, it is estimated by the foreign press and critics of the administration that somewhere between 1000 to 2000 people were killed.

It was during this time that anti-American feelings were at their highest amongst the South Korean population, and ironically Dane’s sojourn in the states brought him face to face with the number one American export: the salvo of freedom. The revelation was not lost upon Dane, and made him aware of the effects of the dictatorship of South Korea, but the dichotomy was something that he had felt much earlier before. “I worked part time in college collecting questionnaires by the government from family owned businesses that were doing terrible; they were doing it to make money and survive. I joined Samsung and then I realized that what I’m doing is killing a lot of small businesses. Because what we’re doing is number crunching while these people are suffering-exploitation…all along while I was in the states, studying my major and the market system and the culture. I changed my major to mathematics and then changed it to advertising. I studied in Michigan State and it was a general education opportunity for me.” The pattern of big business behavior was something that had not changed while Dane was away. During his re-education in Michigan and many other states where he would live for a short while, he survived on his own and took the time out to become intimate with American culture. When he came back he found that the country in many ways had changed but had also inherently stayed the same.

“After I got back from the states the Hyundai company was supposed to hire me, but the company’s leader ran for the presidential election, the corporate Hyundai chairman ran for the presidential election of 92. My position was gone and they put me on standby because I was the outsider. They didn’t acknowledge me for their campaign. I think it was their clandestine operation…I got a new job with another ad agency though.”

However the inability to use his skills and resources to the best of his abilities was something that spiritually blunted him. The culture had not changed in many ways and there was rampant corruption and cronyism that Dane had to deal with.

“All of a sudden I felt that the business style until then, was so messed up. A lot of times you have to bribe, and your job is to have drinks with girls and people that give you money for the advertising budget. I didn’t like that, I just wanted to work. I wanted to make something out of my career. Not waste my time with this corporate culture of prostitution.”

It was there that Dane and started teaching English at Pagoda in Jongro, and after two years started teaching advertising and English classes at a university. It wasn’t enough for Dane who wanted to change the culture. “So, I joined the democratic force in 97 of the campaign of President Kim and he got elected.” It would be the one decision that would change everything.

Dane’s restaurant is a stone’s throw away from mokjagolmok, or as the expats here call it “Meat Street,” an area known for cheap samgyeopsal, grilled thick fatty slices of pork belly meat similar to bacon but uncured. It is an area densely populated with Korean barbecue restaurants and bars. This fact alone has not deterred Dane in the least from folding his esoteric Mexican restaurant. “Out of the Korean population less than 1 percent know anything about Mexican food and people don’t try it. I’m in the wrong place, and I like it because I don’t have to compete with other Mexican restaurants.”

But in the year 1997, Dane was in exactly the right place and time in history when he joined the Democratic party of Kim Dae Jung. The economic crash in 1998 prefigured by widespread dissatisfaction in society due to the government’s inefficient bureaucratization of the economy, turned all of Korea on its head; it triggered widespread unemployment and the chaebols were laying off businessmen in droves. Unemployment skyrocketed and IMF suicides became common among workers who lost their jobs and their dignity, wreaked by the IMF’s bungling in handling the Asian market. The chickens finally came home to roost. The days of chaebol domination were over and the future would surely give way to a more ethical treatment of the business sector.

Dane with Gorbachev.

Dane worked as an image consultant for the campaign of President Kim Dae Jung and after he got elected was given a position to work as Chairman for the Ruling Party. One of the first tasks that the government of Kim Dae Jung set about to do was to plant the idea of a “mass participatory democracy”. What did this mean in practice? It meant a sweeping change of infrastructure that would effectively give people the tools needed to enact this new mode of operation. Mass participatory meant, in effect, the easy flow of capital from person to person. It would need one important thing before it would go into effect and the newly elected government did not have many allies.

“It was the first peaceful transfer of government in 50 years of bad government. The government didn’t have a lot of friends in the media. They were all pro-establishment media.”

Dane had to try to find a way to circumvent this; an existing form of communication would have to be revamped in order to have the policy of a mass participatory economy fully realized. It would be up to Dane as executive assistant to the party to come up with a solution by writing a twelve page proposal capitalizing on the positive outcomes of the Internet. It would be business, politics and education synthesized by knowledge that would be easily transmitted and exchanged.

“I proposed that this new form of media should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stituents of the society but we needed the hardware. So that’s why Korea built the fastest broadband in the world-for political purposes, that was the idea. It coincided with the idea of encouraging entrepreneurs, because if you have Internet access you can make or set up a small business of your own. That appealed to a lot of people that were laid off by the financial crises and were laid off by big business.”

With the young Koreans who proved very adept at using the Internet it proved to be the legacy that helped the Ruling Party become a stronghold in Korean politics and gave way to information sharing becoming the biggest asset in Korean society. The upgraded hardware connected people that were alienated in remote regions. The widespread use of the Internet shifted the reportage of news from the conservative news outlets and into the hands of the people. However, even as revolutionary as the new infrastructure was it could not keep the party from splintering during the next election campaign. “The incumbent candidate was very hot tempered and wasn’t quite capable of political gesturing, he was just too naive for a big politician. He was a kind of power monger (his faction) and they were in my same age group. They tried to get rid of a lot of people and that I didn’t like. They divided the democratic force and if the Democratic Party would have remained in one piece they could have innovated the country. When we lost, the power hungry and money hungry government set in and screwed up a lot of reforms that we had made.”

Dane does not fail to indict the current administration, even if only from the sidelines. “This administration is back into protecting big business and at the same time killing small businesses. If I were in politics again I would write up a very strong proposal to build a strong antitrust legal procedure.

Now, there are the mundane things to worry about, but still political battles that he has a bone to pick with.

“As I walk back and forth from my place I see a lot of cars blocking the streets. I want to cross the street but the trucks are blocking the pedestrian paths. It’s the government’s wrong doing because they don’t specify every building having a loading dock. Building owners save a lot of money by using the parking lots, or unloading it on the street.”

Not as revolutionary as setting up one of the fastest broadband infrastructures in the world, but it is a valid point nonetheless. The sudden suspension of avocados at Costco is also an issue that Dane must deal with, fresh guacamole being something that Dane takes pride in making. Indeed, the image of a former politician now scrounging around the kitchen for stray avocados to make guacamole with seems to be an incongruous transition for most Koreans; especially for Dane’s colleagues who have trouble recognizing him nowadays, a man who at one point had three cellphones: one for his family, the other for foreign correspondents and journalists, and the other for his colleagues during his tenure at the Foreign Correspondent’s Club. The Yeonpyeong Island attack would have left his phone ringing off the hook. “Sometimes, I’m not even briefed. Or if it’s breaking news then I didn’t know and they would ask me questions about it. Erroneously, I would be labeled as the spokesman of the Korean government.”

Step into Dane’s Mexican Grill and you will find the proprietor, shoulder-length salt and pepper hair that he sometimes bundles into a ponytail, usually sitting in a little nook by his computer, channel surfing or facebooking potential invites for his next barbecue event. On the wall is a large bulletin board with pictures of smiling expat teachers. Networking with them has been one of Dane’s many activities that have kept him preoccupied, even if it is away from the spotlight of meeting and greeting diplomats, foreign ambassadors and the ilk (he has boxes full of business cards from them) there is still a connection that he feels with this lost generation.

“A lot of foreign teachers come here with a lot of objectives, but once you’re here I think it is beneficial and helpful for both foreign teachers and their students. A lot of times some teachers that just graduated, some of them think of this place as a spring break-airfare covered, good housing- but I realized some of the foreign teachers learn something from here…it’s a long term awakening to a different culture, a different lifestyle.”

Dane has connected with many in the expat community here and has thrown fundraisers for different organizations and causes that he cares for.

In the meantime Dane is currently running the restaurant and biding his time until he makes his return into the arena of politics. In thinking about his book about how the fear of war shaped Korean policy and its effects on the Korean peninsula today, he hearkens back to something his mother used to say to him. “With the waist cut, how can you dance right?” It’s what I said to the NPR when there was a summit talk in 2000. It’s something my mother told me when I was very young. Korea as a nation wants to prosper, and the fear of war should be eliminated from the peninsula…” In this macabre dance, the beat goes on and South Korea has danced its way into economic prosperity, meanwhile beyond the scar line of the DMZ the music was turned off a long time ago.

UPDATE- Dane has since sold the restaurant, leaving a gaping hole in the Mexican restaurant niche whose shoes will be tough to fill. There is still hope however, as a rogue burrito delivery duo calling themselves “Gringos” has made their mark on Ilsan by selling microwaveable burritos straight to your doorstep!
Print This Post Print This Post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Kevin Kudic teaches at Seoul Language Institute in Ilsan. He’s currently working on a Korean/English blog called Seoul Stomp. He can be reached at KKudic@gmail.com.

엔칠라다 한입
일산, 데인스 멕시칸 그릴

“누드를 넣을까?”

데인이 평소 모습과는 어울리지 않게 장난기 가득한 얼굴로 말했다. 우리는 그의 책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던 중이었다. 한반도 전쟁 전후 역사에 대해 다른 시각을 제시하는 책이다. 그 책에 쓸 데인의 묵직한 정치 이야기들 사이에 요리법을 끼워넣어야 할지 말지에 대해 고민하며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그러니까 그 다음장은 먹음직스런 초밥 사진을 찍어 넣는거야. 뭐, 어떤 놈들은 비웃을지도 모르지. 그런건 아무도 해본 적이 없어. 죄다 젠장맞게 정치적이고 이론적이거든.”

데인은 프랑스 음식에서부터 튀니지와 알제리의 꾸스꾸스(밀로 만드는 지중해 지역의 음식)에 이르기 까지 최고의 음식을 제공하는 외교관 행사도 잘 알고 있었다.

데인을 끈질기게 물고 늘어지다 보면 어쩌면 “내도 한땐 말야…” 하는 이야기 하나쯤은 들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 80년대 초창기, 평범한 이성애자 동양인으로서는 첫 번째로 디트로이트의 게이바에 발을 들여 놓게 된 이야기도 그 중 하나다. 데인이 자기 경험에 과장을 얼마나 덧붙이는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아무리 터무니 없는 소리라 해도 사람들은 언제나 매력적인 이야기에 마음이 끌리기 마련이다.

이런저런 쓰잘데 없는 소리들을 늘어 놓으면서도 그 사이사이에 책에 대한 이야기는 계속 이어나갔다. 현대 역사에서 지역적으로 가장 복잡하고 많은 문제를 안고 있는 나라, 한국의 정치에 하나하나 처방전을 내렸다. 그러는 사이 데인은 더더욱 열성적이 되었다. 결국 내 동료이자 친구인 영어 교사 하나가 그의 자서전적인 책을 대필하기로 했다. 그러자 대화는 종잡을수 없이 여러 주제를 넘나들기 시작했다. 데인은 자신의 책이 다른 작가들의 작품을 발전시킬 수 있는 시초가 될거라며 자신감에 가득 차 있었다.

“다른 정치 작가들이 가진 의견이랑 내 의견을 쭉 나열해 놓는거야. 외신 기자들이 서울에서 몇년동안 일하면서 쓴 책도 제법 많거든. 그 중 몇몇은 사실과 거리가 멀어. 또 몇몇은 너무 급하게 썼고. 그래도 그 중에 괜찮은게 좀 있어.”

데인은 중요한 이야기를 여기저기에서 불쑥불쑥 꺼내 들었다. 한장한장 꼼꼼히 써내려 가야 하는 내 친구에게 있어서는 그다지 건설적인 이야기 방법은 아니었다. 하지만 데인에게도 역시 쉬운 일만은 아니었을 것이다.

“멕시코 음식점을 경영하는게 정치 논문 쓰는 것 보다 배는 어려워. 전엔 이런걸 한번도 해본 적이 없으니.. 어쨌거나 그 책 잘 썼으면 좋겠네”

데인의 요리 만큼만 잘된다면 될 것이다. 새 메뉴는 정말 이태원이나 강남에 있는 멕시코 음식점 뺨을 칠만큼 괜찮았다. 맛 좋은 데인표 치미창가(쇠고기·닭고기·치즈·콩 등을 토르티야에 싸서 기름에 튀긴 요리)를 한입에 다 먹어 치우고, 상큼한 블러디메리(보드카에 토마토 주스를 넣어 만든 칵테일)로 입가심한 다음 인터뷰를 이어갔다.

일산에 자리한 멕시코 음식점의 사장이자 주방장인 데인이 한때는 싸움이 끊이질 않는 한국 정치판에 발을 들여 놓았었다는 사실을 믿기 어려울지도 모른다.

“내가 알기로는 한국에서 정치하다 말고 식당 차린 사람은 없어”

단순히 식당만을 차린 것이 아니라 직접 요리까지 한다. 직원이라고는 수시로 바뀌는 대학교 아르바이트생 하나뿐, 거의 혼자 일한다. 이 식당이 데인에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짐작긴 힘들다. 다음 여정을 위해 잠시 쉬어가는 휴게소일 수도 있고, 가리는 것 없는 그의 독특한 취향의 연장선일수도, 고독을 씹기 위한 외딴 섬일 수도, 세가지 전부 일 수도 있다.

“그냥 잠깐 쉬는 거야. 실험을 해보고 있다고 할 수도 있고. 정치계에서 손을 떼면 금방 잊혀 지거든. 한 일 이년 이면 깨끗하게 잊혀지는 거야”.

데인은 박정희 독재정권이 민주주의에 재갈을 물렸던 70년대에 젊은 시절을 보내며 정치에 눈을 떴다.

“그 시절을 돌아보면… 독재가 무서워서 체제에 대한 불만이나 내 생각 같은 건 묻어두고 살았어. 만약 박정희에 대해 조금이라도 안좋은 이야기를 하면 쥐도새도 모르게 잡혀가는 시대였으니까”
정부의 피해망상이 자욱하게 한국을 뒤덮었고 결국 민중을 향해, 데인의 국내외 인생관을 빚어낸 공포증을 드러냈다. 하지만 집권기간 동안 수출 정책을 기반으로 기적을 낳은 것은 사실이다. 전쟁으로 산산조각난 나라를 불사조처럼 되살려 산업화한 것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칭찬을 아끼지 않는다. 데인은 그 시절에 많은 사업을 배웠고 처음으로 지금은 한국의 경제를 쥐고 있는 대기업에서 일하는 맛을 봤다.

“한국대를 졸업하고 삼성 본사에 취업했어. 미래가 창창한 젊은 사원이었지. 그런데 군대에 다녀오고 나니까 그런 부패와 문제투성이인 대기업에서 일하고 싶지가 않은 거야. 그것보단 훨씬 큰 꿈꿨던 거지. 바로 일을 그만두고 공부하러 미국으로 건너갔어”

바로 1980년 무렵 박정희가 암살당하고 전두환이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했을 때였다. 민주주의를 목조르는 독재정권으로 사회적 다이너마이트가 되어버린 한국은 1980년 광주항쟁으로 불이 붙었다. 불만이 극에 달한 대학생들이 광주의 길 위로 쏟아져 나왔고 이 학생들은 모두 정부에 의해 완전히 진압되었다. 공식 발표된 사망자 숫자는 어찌되었건 해외 언론에서는 이천명에 가까운 수가 죽었다고 말한다.

그 즈음 한국에 반미 기류가 커져갔다. 그때 미국에 체류하고 있던 데인은 아이러니한 현실을 마주해야 했다. 자유를 쏟아 붓는 것이 미국의 가장 큰 수출 상품 이라는 사실이었다. 데인은 현실을 피하지 않았다. 독재정권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을 깨달을 수 있었다. 사실 그 두 가지는 훨씬 이전부터 느껴오던 것이었다.

“대학교에서 아르바이트로 정부에서 나눠준 설문지를 모으는 일을 한적이 있었어. 가족단위로 일하는 조그만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하는 거였는데 전부 상황이 심각했었어. 모두 입에 겨우 풀칠이라도 하려고 하는 짓 이었으니까. 그 뒤에 삼성에 취업하고 보니까 내가 거기서 하던 일이 바로 그런 중소기업을 위협하고 있었던 거야. 중소기업들은 착취로 고통받고 있는데 우리가 하는 일이라고는 숫자놀음에 불과 했거든. 미국에서 공부한다고 미시간 주립대에서 문화와 상업을 전공하다가 수학으로 바꾸고 다시 광고로 바꾸는 동안에도 마찬가지였던 거지. 그래도 사실 그땐 공부하기에는 그런대로 괜찮은 기회였어.”

데인은 미시간과 미국의 다른 여러 지방에서 공부하는 동안 혼자 힘으로 지냈고 미국 문화에 익숙해 지기 위해 오랜 시간 노력했다. 그리고 돌아와보니 대기업이 습관처럼 해오던 짓은 전혀 변하지 않았다. 표면적으로는 많은 것이 바뀐듯해 보였지만 내면은 여전히 똑같다는 것을 알게 됬었다.

“내가 미국에서 돌아오면 현대에서 채용하기로 했었거든. 근데 현대 회장이 대통령 선거, 그러니까 92년 대선에 출마를 한거야. 아웃사이더라는 이유로 내 자리는 사라지고, 기약 없이 대기자로 밀려 났지. 자기네 선거 운동하는데 내가 안 어울린다고 생각했을 거야. 무슨 비밀 작전 같은걸 하는 것 같기도 했고… 어쨋거나 결국엔 다른 광고 회사에 새로 직장을 잡긴 했어.”

능력과 재량을 맘껏 펼쳐볼 수 없는 현실이 데인을 무기력하고 무디게 만들었다. 문화는 변한 것이 거의 없었고 여전히 싸워야 할 부패와 편가르기가 만연했다.

“난 그때서야 갑자기 사업이라는게 그렇게 더럽다는 것을 깨달았어. 끝도 없이 뇌물을 바치고 광고할 돈 대는 사람들이랑 여자끼고 술먹는게 일이지. 난 그런거 안좋아 하거든. 그냥 일이 하고 싶었을 뿐이야. 매춘에 찌든 대기업에서 내 시간을 낭비하는게 아니라, 내 경험을 가지고 뭔가를 해보고 싶었던 거야.”

데인이 종로의 파고다 어학원에서 영어를, 대학에서 광고와 영어를 가르치기 시작한 것이 바로 그때였다. 하지만 그것도 문화를 바꾸고 싶었던 데인에게는 만족스럽지 못했다.

“그래서 97년 김대중 대통령의 선거 운동을 하고 있는 민주당에 참여했고, 결국 김대중 대통령이 당선된 거야.” 인생을 바꾼 선택이었다.

라페스타의 먹자골목에는 삼겹살집과 술집이 빽빽히 늘어서 있다. 그리고 거기에서 넘어지면 코닿을 거리에 데인의 멕시코 음식점이 있다. 지리적으로 불리할지도 모르지만 아는 사람만 아는 멕시코 음식점을 운영하는 데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한국 인구중에 멕시코 음식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는 건 1%정도 뿐이고 나머지는 시도조차 안해. 그걸 생각해보면 난 엉뚱한 데에서 장사하는 거지. 근데 난 그게 마음에 들어. 다른 멕시코 음식점이 없으니까 쓸데 없이 경쟁 같은걸 안해도 되잖아.”

지금 있는 곳이 약간 엉뚱한 자리 일 수도 있다. 하지만 1997년, 김대중의 민주당에 참여했던 것은 그의 인생을 통틀어 가장 정확한 타이밍이자 위치선택이었다. 이전 정부가 경제에 관련된 모든 것을 비효율적으로 관료화시키는 바람에 사회는 불만으로 가득 찼고 사람들은 하나둘씩 돌아섰다. 대기업은 직원들을 앞다퉈 잘라내니 실업률은 하늘을 찌르기 시작했다. 아시아를 다루는 IMF의 서투른 손놀림에 직장과 자존심마저 잃어버린 사람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일이 흔해졌다.
하지만 결국 닭은 횃대로 돌아왔다. 대기업의 독재는 끝났다. 사업의 미래는 이제 좀 더 윤리적인 방향으로 흘러 갈 수 있을 것 같아 보였다.

데인은 김대중 선거 운동 본부에서 이미지 컨설턴트로 일했다. 김대중이 당선된 뒤에는 여당에서 일할수 있는 자리를 얻었다. 김대중 정권이 처음으로 수행해야 할 과제중 하나는 바로 “참여민주주의”라는 개념을 심는 일이었다. 효과적인 면에 있어서 참여민주주의는 사람과 사람 사이에 자본이 좀 더 쉽게 흐를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의미했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사회기반 시설을 전면적으로 바꿔서 사람들에게 새로운 정권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도구를 효과적으로 나눠줄 수 있도록 해야 했다. 이를 효과적으로 실행 하려면 가장 중요한 한가지가 필요했다. 새 정부에게는 아군이 많지 않았다.

“정부가 그렇게 평화적으로 변화한 건50년 만에 처음이었어. 그런데 새 정부는 미디어에 친구가 많지 않았어. 전부 지난 정부를 찬양하던 사람들뿐 이었거든.”

데인은 이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애를 써야 했다. 참여정부 경제정책을 완전히 이해시키려면 지금까지 해온 소통 방식을 모두 뜯어 고쳐야 했기 때문이었다. 그 모든 것이 보자관인 데인에게 달려 있었다. 인터넷의 긍정적인 결과를 가지고 효과적으로 열 두 페이지 보고서를 써내야 했다. 사람들이 간편하게 정보를 주고 받음으로써 사업, 정치, 교육에 어렵지 않게 참여할 수 있게 될 것이었다.
“난 이 새로운 유형의 미디어가 사회 유권자들과 직접 연결될 수 있겠지만, 그러려면 장비가 필요하다고 보고했어. 그렇게 한국에 세계에서 가장 빠른 통신망이 세워진 거야. 다 정치적 거였지. 그래도 한편으로는 사업가들을 장려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어. 인터넷에만 접속할 수 있으면 개인이 조그맣게 사업을 시작할 수도 있게 되었으니까. 이런 사실이 경제위기로 직장을 잃은 사람들이랑 대기업에서 밀려난 작은 회사들의 관심을 끌었어.”

이 젊은이는 인터넷을 아주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음을 증명했고, 그 결과는 여당이 한국 정치의 중심에 설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고, 정보 공유가 한국 사회의 가장 큰 자산이 될 수 있도록 이끌어 준 유산임을 인정 받았다.

향상된 장비로 외진 지방에 거주해 소외된 사람들이 연결됐다. 널리 퍼진 인터넷이 보수적이었던 뉴스를 시민의 손에 쥐어 주었다. 하지만 새로운 사회 기반시설을 세웠을 만큼 혁신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당은 다음 선거로 인해 분열되었다.

“후임자는 좀 다혈질인데다가 정치적 표현에 있어서 그다지 적합한 사람은 아니었어. 큰 정치인 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순진했던 거지. 내 또래 투쟁가에 가까웠어. 많은 사람들을 잘라냈지. 난 그게 맘에 안들었어. 그리고 민주당은 갈라졌지. 만약 민주당이 그대로 남아 있었다면 나라 전체를 바꿀 수 있었을 거야. 하지만 결국 다음 대선에선 졌고 그 권력 욕심과 돈 욕심에 눈먼 새 정부는 우리가 지금까지 쌓아 놓은 것을 망쳐버린 거야.”

고이즈미총리와 데인

데인은 이제 방관자임에도 불구하고 현 정부를 비판하기를 멈추지 않는다.

“이 정부는 지금 대기업만 보호하고 중소기업은 죄다 죽여 버리는 시절로 돌아갔어. 내가 지금도 정치계에 있었다면 분명 강력한 독점금지법을 제정하는 안건을 썼을 거야.”

이제는 일상적인 일에 신경을 써야 하지만 여전히 정치판에 따져야 할 일들이 있다.

“집 주변을 걸어 다녀만 봐도 길에 대놓은 차들이 엄청나게 많이 보여. 난 그냥 길을 가기만 하면 되는데 그 지랄 맞은 차들이 인도를 죄다 가로막고 있잖아. 이런 건 정부 잘못이야. 모든 건물에는 충분한 주차 공간이 있어야 한다고 명시하지 않거든. 주차장을 따로 만들거나, 그냥 길가에 대놓도록 해서 건물주만 배를 불리는 거지.”

세계에서 가장 빠른 통신망을 설치하는 것만큼 혁신적이지는 않지만 여전히 필요한 일이다. 코스트코가 계속해서 아보카도 판매 연기하는 것도 반복되는 문제다. 데인이 가장 큰 자부심을 갖는 과카몰리를 바로 아보카도로 만들기 때문이다. 전직 정치인이 이제는 과카몰리를 만든다고 주방에서 틀어 박혀 아보카도 껍질을 벗기는 모습은 많은 한국인들에게 이상하게 보일 것이다. 심지어 동료조차도 한때는 업무용과 가족용, 외신 기자용 핸드폰을 모두 따로 가지고 다녔던 데인을 잘 알아보지 못한다. 하지만 연평도 포격 사건이 터졌을 때는 전화가 쉴 새 없이 걸려 왔다.

“가끔은 아무것도 모를 때도 있어. 속보가 뜨고, 난 알지도 못하는데 다들 나에게 물어보지. 무슨 정부 대변인이라고 낙인이라도 찍힌 것 같아.”

데인의 멕시코 그릴에 들어가면 주인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가끔은 어깨까지 내려오는 반백 머리를 뒤로 돌려 묶기도 한다. 그리고 대부분의 시간을 구석 컴퓨터 앞에 앉아서 다음 바비큐 파티를 열만한 사람을 찾아 인터넷을 뒤지고 페이스북을 한다. 벽에 걸려있는 게시판에는 외국인 강사 사진들이 미소 짓고 있다. 그들과의 교류도 데인을 바쁘게 만드는 여러 일중 하나다. 외교관이나 외국 대사를 맞이하고 인사 나누는 일과는 거리가 멀지만(그들에게서 받은 명함이 몇 박스나 있다), 여전히 지난 날을 더듬어 볼 수 있게 해주는 연결점이다.

“많은 외국인들이 제각각 다른 목표를 가지고 한국에 와. 그들이나 한국인 학생들에게 모두 도움이 되고 이익이 될 거야. 외국인 강사를 보면 대부분 갓 졸업하고 오거나, 어떤 놈들은 비행기 값에 좋은 방까지 잡아주는 휴가 정도로 생각하고 오기도 해. 그래도 그 중 몇몇은 여기서 뭔가를 배워가는 것 같아…. 다른 문화, 다른 생활방식을 이해하는 데엔 시간이 오래 걸리지.”데인은 많은 외국인 단체와 교류하며 다른 단체들을 위해 모금행사를 해왔다.

데인은 음식점을 운영하며 정치판으로 돌아갈 시간을 기다리고 있다. 전쟁의 공포가 한국 정치를 어떻게 만들었고 한반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생각하며 어머니가 해주시던 말씀을 되새긴다.

’옷이 불편한데 어떻게 춤을 제대로 추겠니?’

“2000년 정상회담이 있었을 때 내가 국영방송에 했던 말인데, 내가 아주 어렸을 때 어머니가 해준 말이야. 한국이 번영하길 바란다면, 먼저 한반도에서 공포를 없애야 해”

섬뜩한 춤사위다. 한국은 박자에 맞춰 경제적 번영의 춤을 추지만 DMZ 흉터 넘어 에는 음악소리가 끊긴지 오래다.

Comments

comments

Monkey Business in Jakarta: A Street Performer Speaks

How to Start a Business in Korea: The AFEK Business Conference